코틀린 생태계의 다양한 기술을 깊이 있게 소개하는 모임, Kodeeverse의 첫 번째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안녕하세요. Kodeeverse를 기획하고 첫 번째 이야기를 준비한 지성빈 입니다.
우리는 코틀린의 Compose Multiplatform 덕분에 코틀린 프로그래밍 언어 하나로 대부분 플랫폼의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컴포즈는 리컴포지션이라는 중요한 개념이 있는데요, 이를 소홀히 하면 우리가 정성껏 만든 프로그램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저는 리컴포지션의 구현 방식을 직접 확인하고자 Compose Runtime과 Compose Compiler 코드를 살펴보았습니다.
그랬더니 리컴포지션이 무조건 진행되는 코드와 무조건 생략되는 코드가 분명히 있음을 깨달았고, 이 정보는 공식 문서에서 찾을 수 없었습니다.
Kodeeverse의 첫 번째 이야기에서는 [리컴포지션이 무조건 진행되는 코드와 무조건 생략되는 코드]를 소개합니다.
이번 이야기는 저와 종혁 님이 준비했습니다.
[성빈] Compose Compiler 내부 엿보기: 안정성과 리컴포지션 최적화의 공식을 소개합니다
[종혁] Collect 왕자와 Flow 공주: Compose Flow 수집의 모든 것
성빈 발표 목차👇🏼
Recomposition 파헤치기
핵심 개념 복습
컴포지션이란?
리컴포지션이란?
리컴포지션 생략이 무조건 불가능한 상황
리컴포지션 생략이 무조건 진행되는 상황
리컴포지션 생략을 만드는 공식
Stability 파헤치기
핵심 개념 복습
안정성이란?
안정성이 리컴포지션에 미치는 영향 (컴파일러가 만드는 코드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안정성이 없다면?
안정성이 있다면?
@Stable
vs @Immutable
기본으로 안정한 타입(클래스)
과 함수
(공식 문서에 나와있는 내용 제외)
종혁 님 발표 목차 👇🏼
(곧 공개됩니다)
이번 이야기는 다음과 같은 개발자라면 흥미롭게 들을 걸로 예상합니다.
Compose를 공식 문서보다 더 자세히 알고 싶은 개발자
Compose Compiler를 직접 공부하긴 부담되지만, Compiler가 만드는 코드는 궁금한 개발자
리컴포지션 작동 방식을 학습하거나 복습하고 싶은 개발자
안정성의 동작을 코드로 이해하고 싶은 개발자
@Stable
과 @Immutable
의 동작 차이가 궁금한 개발자
(스포일러: 컴파일러가 만드는 리컴포지션 로직에 매우 큰 차이가 있습니다 🙊)
이번 행사는 강남언니와 함께 합니다.
장소: 역삼역 3번 출구 앞 아크플레이스 빌딩, 15층 강남언니 라운지
일정: 2025년 11월 15일 (토요일), 13시 ~ 17시
행사 사이트와 iOS/Android 앱도 조만간 공개됩니다 ✨
티켓은 무료이지만, 노쇼 방지를 위해 보증금 25,000원(치킨값 🍗)이 있습니다.
보증금은 행사에 참석한 즉시 환불됩니다.
그럼 우리 11월 15일에 만나요~! 👋🏼